Rheology and Materials Processing Laboratory
Rheology and materials processing lab carries out theoretical computational and experimental studies on fluid dynamics, manufacturing processes and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 of complex fluids such as polymers, suspensions and emulsions. Main research areas includes fluid dynamics of polymers and particle-filled polymers, industrial reactor and agitator research, dispersion and mixing enhancement techniques, flows in porous media and particle filtration,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echniques for complex fluid flow simulations, etc.
유변학 및 재료가공연구실은 고분자, 입자계, 분산계 등 복잡유체의 생산공정 및 성형공정의 유동, 미세구조와 물성의 변화에 대한 이론적 수치적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고분자 및 입자분산 고분자의 유동해석, 산업용 반응기 및 교반기의 유동해석과 분산성/교반성능향상기법, 다공질 유동해석 및 입자필터링 연구, 복잡유체 유동해석을 위한 수치해석기법개발등을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산업용 교반기에 카오스 이론을 도입한 고효율 교반기를 개발한 바 있으며, 국내 교반기법 연구개발의 중심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Research areas
Chaotic mixing in industrial agitators; dispersion of fine particles and droplets; polymerization reactors; bio-reactors for animal/plant cell culture, complex fluid flows in stirred vessels; chaotic mixing and dispersion in single-screw extruders; mixing in solid-liquid flows, etc.
산업용 교반기에서의 카오스 교반; 입자 및 액적의 분산연구; 고분자 중합반응기 연구; 바이오반응기 연구; 복잡유체의 교반; 압출공정에서의 교반 및 분산 등
Viscoelastic flow simulations; solid/liquid flow simulations; liquid/liquid flow simulations; free-surface flow simulations; development of fast iterative solvers (Krylov subspace and multigrid methods).
점탄성 유동해석 기법개발; 입자/유체 유동해석 기법개발; 유체/유체 유동해석 기법개발; 자유표면 유동해석; Multigrid를 이용한 반복해석기법 개발 등
Flows in dual-scale porous media; particle deposition and filtration in porous media; permeability prediction through complex porous microarchitectures; flows of complex fluids through porous media, etc.
이중스케일 다공질 유동해석; 다공질 매질에서의 입자침전 및 필터링 모델링 및 해석; 복잡한 다공질 구조에 따른 투과율 예측; 복잡유체(고분자유체, CNT분산 유체 등)의 다공질 유동해석 등
Particle suspensions in polymeric liquids; extensional flows of hard particle suspensions; droplet emulsions and dispersions; particle microstructural formation in viscoelastic fluids; flows of non-spherical particle suspensions, etc.
입자분산현탁액 연구; 현탁액의 신장유동; 에멀전의 전산유변학; 입자계 미세구조 해석; 비구형(섬유상 및 CNT) 구성방정식 모델링 및 해석 등
Flow-induced crystallization of particle-filled polymers; mixing and dispersion in screw extruders; injection molding of particle-filled polymers, industrial inkjet printing, RTM-based composites manufacturing, etc.
입자분산 고분자의 유동에 의한 결정화; 압출공정에서의 교반 및 분산; 입자분산 고분자의 사출성형 모델링 및 해석(단섬유, 장섬유, CNT등); 산업용 잉크젯 프린팅 유동해석; RTM기반의 복합재 성형기법 등.
Notices & News
[JAN 2014] 우리 연구실 졸업생 정현준 군이 그녀와 2014년 1월 19일 결혼합니다. 축하해요 ^^ (주례가 누굴까요?)
[DEC 2013] 12월 19일, 20일 양 일간에 걸쳐 본 연구실이 주최하는 제2회 산업교반기술강좌가 경상대학교 BNIT RnD 센터에서 개최됩니다. 12월 19일 저녁에는 산업교반기술협의회 회의가 예정되어있고, 20일에는 오사카 대학의 유시이 히라타 교수님의 강의로 항복응력이 있는 유체의 교반을 주제로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강좌가 진행됩니다. 산업체 연구인력 및 대학원생을 비롯한 연구자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기대합니다.
[NOV 2013]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연구성과 사업화지원 인큐베이팅 RnD과제에 본 연구실의 "향상된 교반성능을 가진 동물세포배양기 개발" 과제가 최종 10개 과제에 선정되었습니다. 앞으로 1년에 1억 7천만원씩 2년간 총 3억 4천만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현재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바이오시밀러 생산 등에 필요한 제약용 동물세포배양기를 국산화하고, 특히 기존대비 교반성능이 월등히 뛰어난 새로운 세포배양기를 개발하여 세계시장을 선점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과제는 (주)씨엔에스가 위탁기관으로 참여하여, 기술이전 및 상용화 연구를 함께 진행합니다.
[NOV 2013] 우리 연구실에 석사과정으로 장혜경 양(생명화학공학과 졸업예정)이 새로이 합류하였습니다. 앞으로 우리 연구실의 반응기 연구에 큰 도움이 되리라 예상합니다.
[NOV 2013] 한국연구재단에서 유변학적 복잡유체의 교반에 대한 3년 연구과제를 받았습니다. 앞으로 3년간 전단담화, 항복응력 및 탄성을 가진 복잡유체의 카오스 교반과 탄성난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본 연구는 지난 3년간 진행한 연구재단 일반연구자 과제의 성공적인 수행에 따른 후속과제로 선정되어 더욱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SEP 2013] Dr. Tran Thanh Tinh joined our group as a Post Doc. researcher. He received his BS at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Technology, Vietnam, and PhD at Ecole Nationale Suerieure de Mecanique et d'Aerotechnique (ENSMA), France. He is an expert in turbulence modeling and is going to be involved with the agitator research.
베트남 호치민공대(HCMUT)에서 학사학위를 받고 프랑스 국립기계항공대학(ENSMA)에서 난류모델링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트란 탄 틴 박사가 우리 연구실의 박사후연구원으로 왔습니다. 앞으로 교반기 연구의 난류해석을 담당할 예정입니다.[JUN 2013] Dr. Hai Long Liu left our group to become an assistant professor at Jiangsu University. Congratulation to HLL.
우리 연구실 1호 박사인 류해룡 박사가 모교인 중국 강소대학교 조교수로 임용되어 우리 그룹을 떠났습니다. 축하합니다.[FEB 2013] Dr. Hai Long Liu successfully finished his PhD degree.
우리 연구실 1호 박사인 류해룡 박사가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한 동안 우리 연구실의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하게 됩니다.[JAN 2013] Mr. Jasper Beerens from Eindhoven University of Technology joined our group as an exchange internship student (till April).
네덜란드 아인트호벤 공대의 Jasper Beerens 군이 3개월간 인턴연구원으로 우리 연구실에서 근무합니다. 복합재료 성형에서 입자침천과 필터링 연구를 담당합니다.